Search In this Thesis
   Search In this Thesis  
العنوان
한국어와 아랍어 명령문의 대조 연구:
المؤلف
صالح, علا حمدي.
هيئة الاعداد
باحث / علا حمدي صالح
مشرف / جونج يونج ان
مشرف / هدى عبد الغني باز
مناقش / هدى عبد الغني باز
تاريخ النشر
2019.
عدد الصفحات
163 P. :
اللغة
الكورية
الدرجة
ماجستير
التخصص
اللغة واللسانيات
تاريخ الإجازة
1/1/2019
مكان الإجازة
جامعة عين شمس - كلية الألسن - قسم اللغة الكورية
الفهرس
Only 14 pages are availabe for public view

from 163

from 163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의 명령 화행 사용 양상을아랍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명령 화행 사용 양상과 비교함으로써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명령 화행을 사용하는 데 모국어에 의존하는지 목표에 사용을 지향하는지 살펴 보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우선 화행 이론에 대해 정리하였고 명령 화행에 대해도 정리하였다.명령은말하는자가 듣는자에게 특별한 행위를 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많은 화행을 보여줄 수 있는 발화 형식’이다.일상생활에 의사소통이 될 때명령문은 지시 (명령) 기능만 표현하는것이 아닌데 허가, 금지,요청, 충고, 기원등 여러 기능을 표현할 수도 있다.따라서 본구에서는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한국어와 아랍어 모어 화자들이 명령 화행의 사용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구에서 본실험 상황을 구성하기 전에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다.아랍어와 한국어 명령화행 선행 연구와 책을 바탕으로 두고 간접명령화행을 파악해서상황을 제작하였다.간접명령화행이 요청화행, 간청화행, 충고화행, 제안화행, 위협화행, 경고화행, 사과화행 등이 많이 있다.몰론 모든 화행을 맞추는 상황을 실시하기는 어려웠다. 그래서 몇몇 화행만 골라서 실험 상황을 제작하였다.상황에 대해 변인의 요소로 친밀도 및 상대적 지위 두 가지 변인으로 선정하였다.본연구에서는 담화완성형텍스트(DCT)를 실험 도구로 사용하였다.조사는 한국어 모어 화자 20명, 아랍어 모어 화자20명,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20명,총 60명에게 실시되었다.
본구에서는3가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문제 1은한국어와 아랍어의 명령과 명령화행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제시하는 것이었고 문제2는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한국어와 아랍어 모어 화자세 집단은 명령 화행을 수행함에 있어서 어떤 내용의 명령을 사용하는지, 그리고 사용한 내용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었다.마지막으로 문제3은 각 집단은 사회적 변인에 따라 명령 화행 사용에 어떤차이와 특징을보이는 것에 대한 분석한 것이었다.
이론 부분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 두 언어의 직접 명령문
• 두 언어가 명령문은 말하는자가 듣는자에게 자기가 원하는대로 행동해 줄 것을 요청하는 문장 유형인것로 정의했다.
• 두 언어에서 명령이 화자와 청자의 사회 신분에 따라 직접명령문과 간접명령문 두 가지 명령문의 형이 있다. 이에 따라 화자의 위치가사회적 또는 심리적으로청자보다 낮을 때 공손한 표현을 쓴다예:
• 사장님 시간이 됐으니까 회의에 들어가십시오 (سيادة المدير حان الوقت تفضل ادخل الاجتماع.)
두 번째: 두 언어의 간접 명령문
• 두 언어에서 명령 화행이 화자의 말과 의도의 매칭에 따라 직접화행과 간접화행으로 나뉜다.다시 말해서직접화행은 말의 목표와 비슷하게 나오지만 간접화행은 말의 목표와 다르게 나온다.
• 두 언어에서 명령은 동사로만 표현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았고 (해야 되다, 반드시, 해야 한다)= (يجب، ينبغي، أوجبت)와 같은 필수의 표현도 사용되었다.예:
- ينبغي أن نتفق(같이 협의해야돼)
- 니 방을 정리해야 해
• 한편 아랍어에서만직접명령은 가끔 (명령하다,지시하다)와 같은 명령을 표현하는 기본적인 단어들을 이용한다.예:
- إنه أمر (명령이다..지시이다)
세번째:두 언어의 명령화행
• 명령이 여러가지 화행을 표현하는 것이 두 언어의 유사점이었다.
• 두 언어가 요청, 간청, 충고, 기원, 사과, 금지, 초대와 같은 화행에 명령을 사용했다.
• 한국어에서 자기숙고와 저주화행에 유일하게 명령이 사용되었다.
• 아랍어에서 위로, 격려, 의문,기쁨,유혹,분노의 화행에 유일하게 명령이 사용되었다.
• 명령이 표현하는 화행은 아랍어에서 한국어 보다더 많았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상에서 보듯이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EK) 집단이 본 실험의 21상황 중에 8상황에 두 집단의 명령 화행 사용 비율과 차이를 보였는데 , 8상황에 한국어 모어 화자(KK) 집단과 명령 화행 사용 비율이 가까웠다.한편 5상황에만아랍어 모어 화자(EE) 집단과 명령 화행 사용 비율이가까웠다. 이렇게 해서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EK) 집단이 한국어로 표현할 때 제2언어(한국어)의 영향을 모국어 (아랍어)의영향보다 받았다고 생각한다.아랍어의 영향이 몰론 많이 있었지만 대부분 상황에 한국인과 같이 표현하거나 특별한 방식으로 표현했다.
세 집단이 상대적 지위와 친밀도에 불구하고 허가와 찬송 상황에 명령으로 많이 표현하지만제안과 기원 상황에 명령으로 표현하지 않는다.세 집단이 제안의 경우에제안의 표현을 사용했다.
세 집단이 친한 사람에게 허가하거니 안사할 때 명령으로 표현을 많이 한다.그렇지만 친한 사람에게 제안할 때 명령으로 많이 표현하지 않는다.
세집단이 친한 관계일 경우에 대부분의 상황에 명령을 편하게 표현했다.한국어 모어 화자(KK) 집단과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EK) 집단이 반말로 표현하고 아랍어 모어 화자(EE) 집단도 명령을 편하게 표현했다.그렇지만 아랍어 모어 화자(EE)집단이 친한 관계라도 가끔 공식적인 표현을 사용했다.이 것이 이집트 문화에 선.후배 관계나 나이에 따라 말하는 계급이 달라지는 규칙이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이런 점이 한국문화와 다르다.
세 집단이 친하지 않은 사람을 어떤 일에 금지나 경고할 때 부정 명령을 많이 사용했고 무조건 존댓말을 사용했다. 또한 천송, 사과, 초대, 간청와 요청 상황에 아/어 주세요 의 표현을 많이 사용했다.
세 집단이 친하지 않은 사람에게 어떤 일을 기원할 때 명령 표현 대신에 평서문 “기를 바랍니다”의 표현을 사용했다.제안할 때도 마찬가지였는데 명령 표현 대신에 제안 표현을 사용했다.도움을 요청했을 때도 명령 표현 대신에 질문으로 도움을 요청했다.
세 집단이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요청했을 때 직접 명령을 쓰지 않았고 평서문이나 질문을 사용해서 표현했다.
상대방의 지위가 높을 경우에 세 집단이 존댓말로 표현했는데 형/오빠의 경우에만 한국어 모어 화자(KK)집단과 아랍어 모어 화자(EE) 집단이 편하게 표현했다. 한국어 모어 화자(KK)집단과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EK) 집단이 찬송, 요청, 초대, 축하, 간청 상황에 ‘아/어 주세요’로 표현했다.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EK) 집단이 상대방의 지위가 등등하거나 낮을 경우에도 반말과 존댓말을 모두 사용했다.이 점은 한국어 모어 화자(KK) 집단과 달랐다.한국어가 제 2 언어이기 때문에 표현할 때 가끔 부족함이 있고 원어민처럼 자연스럽게 표현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그간 명령 화행 연구에서 실시되지 않았던 이집트인,한국인과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명령 화행의 내용 및 사회적인에 따른 명령 화행 사용 양상을 비교분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그러나 본 연구가 좀 한계 점이 있었다. 몰론 서면 DCT보다 인터뷰나 구어 DCT를 실시하면 실제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그렇지만 선행 연구에서는인터뷰나 구어 DCT를 실시하면 피험자들에게 큰 부담을 줄 수 있다 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인터뷰나 구어 DCT를 피했었다.따라서 서면 DCT를 실시하였다.또 이집트에서 실험을 실시하기 때문에 한국인 피험자의 수가 적을 수 밖에 없다는 점은 한계가 되었다. 따라서 세 집단의 피험자 수가 같게 하기 위하여 집단마다 20명만 실험에 응답하였다.
앞으로에 제안하고 싶은 것은 한국어와 아랍어 명령에 대한 연구를 더 실시하면 좋겠다.DCT 옆에도 아랍어와 한국어의 소설을 비교분석하는 논문이 나왔으면 좋겠다. 또한 명령 화행 옆에도 명령 문장의 구조도 비교분석하는 논문이 나왔으면 좋겠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가 제2언어이기 때문에 고급 수준에 도달했을 지라도 항상모국어 (아랍어)와 모국어의 문화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이에따라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화용 교육이 아주 큰 이익이 있다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본 연구는 이집트에서 한국어 명령 화행 교육에 있어 도움이되는 기초 연구가 될거라 생각한다. 향후 수가 늘어가고 있는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명령 화행 교육, 아울로 각종 화행 교육을 위한 보다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